제목 | GC녹십자, 혈액분획제제 미국 품목 허가 신청 |
---|---|
등록일 | 2021-02-26 |
첨부파일 |
|
내용 | ▶ 세계 최대 북미 시장 진출 GC녹십자가 대표 사업군인 혈액제제를 들고 세계 최대 미국 시장을 두드린다. GC녹십자(대표 허은철)는 자사의 면역글로불린 제제인 ‘GC5107(국내 제품명: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주 10%)’에 대한 품목허가 신청서(BLA, Biologics License Application)를 미국 식품의약국(FDA)에 제출했다고 26일 밝혔다. 국내 혈액제제 중 글로벌 상업화를 앞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. GC녹십자는 지난해 ‘GC5107’의 북미 임상 3상을 마무리했다. ‘일차 면역결핍증(Primary Humoral Immunodeficiency)’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 FDA 가이드라인에 준한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변수를 만족시켰다. 유효성 측면에서 ‘GC5107’을 투약해 12개월 간 ‘급성 및 중증 세균성 감염(Acute Serious Bacterial Infections)’ 빈도를 측정한 결과, FDA 기준인 1보다 낮은 0.02의 수치를 나타냈다. 안전성 평가에서도 약물로 인한 사망이나 심각한 수준의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는 등 모든 기준을 충족시키는 결과를 보였다. 미국 면역글로불린 시장은 약 81억 달러의 규모를 형성1 하고 있으며, 최근 자가면역질환의 증가로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. 하지만 대규모 설비 투자와 고도화된 생산 경험이 필수적인 혈액제제는 전 세계적으로 생산자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, 공급 부족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면역글로불린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, 면역글로불린의 미국 시장 가격은 국내보다 4배 정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. 허은철 GC녹십자 사장은 “이번 BLA 제출은 자국 바이오 의약품 사업의 미국 시장 진출이라는 목표를 향한 큰 도약을 의미한다”며 “세계 시장에서 이미 인정받은 제품력을 기반으로 미국 내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의미 있는 치료 옵션을 제공할 예정”이라고 말했다. 한편, 바이오 의약품의 FDA 품목 허가 신청 절차는 일반적으로 60일 간의 예비심사를 통해 제출된 자료의 수용 여부가 검토되며, 그 이후 통상 10개월 내 최종 품목 허가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. <끝> 1MRB plasma market report(2019), US IgG(IVIG+SCIG) sales value |
번호 | 등록일 | 제목 | 첨부파일 | 조회수 |
---|---|---|---|---|
1291 | 2021-04-15 | GC녹십자웰빙, 태반 유래 항바이러스 조성물 국제특허 출원 | 65 | |
1290 | 2021-04-14 | GC녹십자, 희귀질환 환우 대상 ‘제 1회 스마일 미술대회’ 후원 | 18 | |
1289 | 2021-04-13 | 지씨씨엘, 임상시험 검체분석 실험실 확장 | 45 | |
1288 | 2021-04-07 | GC녹십자웰빙,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국제특허 출원 | 23 | |
1287 | 2021-04-06 | GC녹십자, ‘노발락 육아 에세이 공모전’ 개최 | 64 | |
1286 | 2021-03-25 | GC녹십자웰빙, 암악액질 신약 ‘GCWB204’ 근육감소 억제 효과 규명 | 150 | |
1285 | 2021-03-25 | GC녹십자, 제 52기 정기 주주총회 개최 | 145 | |
1284 | 2021-03-22 | GC녹십자랩셀, NK세포 제조 방법 국내 특허 취득 | 112 | |
1283 | 2021-03-19 | GC녹십자, 신제품 ‘제놀 푸로탑 플라스타’ 출시 | 91 | |
1282 | 2021-03-16 | 유비케어,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 라인업 KIMES 2021 출품 | 83 |